CONTACT US

CONTACT US

Click here !! for Mobile Phone Cases

Click here !! for Mobile Phone Cases
Mobile Phone Cases

World Clock

Sunday, October 18, 2015

'Politicized' South Korean spy agencies in 'urgent need of reform': ICG

'Politicized' South Korean spy agencies in 'urgent need of reform': ICG

South Korea's intelligence agencies are susceptible to failures, politicization and intervention in domestic politics, so reform is urgently needed to restore public confidence, analyst Daniel Pinkston tells DW.
A South Korean soldier stands in front of huge national flag covered with plastic for protection on the eve of Memorial Day ceremony at the National Cemetery in Seoul, South Korea, Wednesday, June 5, 2013.
The image of South Korea's intelligence services has been repeatedly tainted over the past years due to a series of scandals. But the situation worsened in the fall of 2012 when many in the main opposition party, the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 - then named the Democratic Party, accused the country's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NIS) of swaying the outcome of the December presidential election through an Internet smear campaign against opposition candidate Moon Jae-in to ensure the victory of incumbent President Park Geun-hye. The public's trust and confidence in the intelligence community has been severely damaged ever since.
Daniel Pinkston, Deputy North East Asia Project Director at the International Crisis Group who co-authored a recently released report titled "Risks of Intelligence Pathologies in South Korea," says in a DW interview that intelligence in South Korea is sometimes being manipulated with the aim of influencing the policy-making process. This is done so that the decision-makers' choices are more aligned with the policy preferences of the intelligence agencies, thus creating risks for both the country and beyond, he adds.
DW: In your report you speak of risks of intelligence pathologies. What do you mean by that?
Daniel Pinkston: Scholars and analysts mostly cover two types of intelligence problems or "pathologies." These are "intelligence failure" and the "politicization of intelligence." There are several examples of "intelligence failure" such as Pearl Harbor and the 9/11 terrorist attacks. The failures can occur anywhere along the intelligence process: collection, processing, analysis, and distribution to consumers (policymakers).
In this handout image provided by the South Korean Presidential Blue House,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speaks during an address to the nation about the sunken ferry Sewol at the presidential Blue House on May 19, 2014 in Seoul, South Korea.
Daniel Pinkston says that actions like Internet malfeasance during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 which saw Park Geun-hye reach power, distort the democratic process
Policymakers might receive an inferior or faulty intelligence report because the agency could not collect the data; or the data were collected, but were put aside or ignored during processing; or the analysts make analytical errors due to cognitive bias, faulty assumptions and/or bad models.
On the other hand, intelligence can become "politicized" if an intelligence agency distorts or filters reporting in a way that influences policy choices. A prime example would be the reports on the issue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in Iraq: the then US Vice President Dick Cheney reportedly went to the CIA to "cherry pick" the data to fit the outcome he wanted to see.
To which extent are South Korea's spy agencies politicizing intelligence?
The report refers to the deliberate distortion of intelligence products - at some point in the processing of intelligence - to influence policy making. In other words, someone in the intelligence agency manipulates the intelligence with the aim of influencing the decision-maker's choices to be more aligned with his or her policy preferences. The Dick Cheney example above fits this description.
The report mentions that the intelligence capacity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has, of late, shown a range of weaknesses and failures. What are these weaknesses?
Most of the processes in the ROK intelligence community work pretty well. However, they could do much better as there is an urgent need to acquire the sophisticated hardware and intelligence collection platforms to ensure that they have adequate early warning capabilities in the shadow of North Korea's rising nuclear and missile threats.
The country could also enhance intelligence sharing with the United States by doing a much better job at protecting classified information. When intelligence is leaked, the damage often is much greater than the simple disclosure of the information. Intelligence leaks will often tip off adversaries or competitors that somehow someone has gained access to information they wish to protect; therefore, they will take measures to deny that access. Due to South Korea's chronic leak problem, the US is reluctant to share some sensitive intelligence because of fears it will be compromised.
Are there any shortcomings in terms of staff training?
South Korea could do a better job ensuring that intelligence officers up to the senior levels are professional and qualified; promotions and appointments should be based on merit and not on school ties or friendships. For the most part, I think the latter is the case.
I believe the vast majority of the intelligence officers and analysts in the NIS and other ROK intelligence institutions are very professional and dedicated. However, recent scandals are a clear indication that the ROK intelligence community can do better.
In which ways have intelligence agencies intervened directly in domestic politics and why?
They have intervened independently or at the behest of state leaders to achieve their policy objectives. The Korea Central Intelligence Agency's kidnapping of Kim Dae-jung in the 1970s, and the Internet malfeasance during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is another. These actions distort the democratic process, but of course, the degree of egregiousness varies. The Internet comments of 2012 are mild compared to kidnapping and election rigging, for example.
I believe the NIS is more constrained than ever, and the likelihood of direct intervention in domestic politics is lower than ever. However, the recent scandals show that the possibility has not completely disappeared. Hopefully, the recent events will lead to serious reflection and appropriate reform.
A stock picutre simulating a hacker writing code.
Pinkston say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Seoul to acquire sophisticated hardware and software to ensure adequate early warning capacity, given North Korea's threats
What else should Seoul do to enhance its intelligence services?
I believe the South Korean intelligence community must regain the trust of South Korean citizens. This will take time, and all democracies struggle with this issue. In the wake of Edward Snowden's disclosure of the National Security Agency's surveillance activities, a debate has emerged regarding the right balance of state secrecy and citizens' right to privacy.
The tension between the NIS and South Korean society is slightly different because of the legacy under authoritarian rule, so South Koreans are quite sensitive to the problem of intelligence services intervening in domestic politics.
The default remedy for many has been the emasculation of the intelligence services, but now the country needs to increase its intelligence capacity given the multitude of security challenges posed by North Korea. So in sum, South Korea needs to increase its intelligence capabilities while at the same time introduce sufficient oversight as well as checks and balances to minimize the risk of intervention in domestic politics.
Daniel Pinkston is Deputy North East Asia Project Director at the International Crisis Group.

Saturday, October 17, 2015

국정교과서 반대 국민대회 열려…청소년들도 거리로

주말인 17일 서울 도심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국민대회가 열렸다. 청소년들도 “대한민국의 역사교육은 죽었다”며 거리로 나와 목소리를 높였다.

■국정 교과서 반대 국민대회

이날 오후 4시 서울 종로구 세종로공원에서는 시민사회·역사단체들이 연대해 여는 ‘국정교과서 반대 범국민대회’가 열렸다. 시민 2000여명(주최측 추산·경찰 추산 700명)이 나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역사 쿠데타를 멈춰라’는 피켓을 들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변성호 위원장은 “현재를 지배하는 자가 과거를 지배한다”며 “자본가의 역사가 아닌 이땅의 진실된 역사 생산의 주인인 수많은 전태일 열사의 역사를 기억해야 하지 않겠나”고 말했다. 함세웅 신부(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이사장)는 “대화도 과거, 현재, 미래 이야기를 한다”며 “다양성이 있어야 아름답고 완전하다. 역사에 다양성이 있어야 하고 이것을 종합하는게 아름다운 완성”이라고 말했다. 이어 함 신부는 “그런데 바보같은 사람들이 한 음식, 한 시각, 한 주제만 이야기하겠다고 한다”며 “우리는 진실을 가지고 선열의 얼과 정신을 지키는 당대의 훌륭한 시민 증언자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17일 서울 세종로공원에서 열린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 범국민대회’에서 시민들이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손피켓으 들고 있다. 강윤중 기자
이이화 역사학자는 “반민족·반헌법적 폭거로 우리가 모이게 됐다”며 “주체사상으로 교육을 시킨다 같은 별별 소리가 다 들리는데 이 중상모략에 나같은 할아버지도 분노를 참을 수가 없고 눈물이 쏟아진다”고 말했다. 그는 “역사 교과서 국정화의 목적은 5·16 군사쿠데타를 혼란을 틈탄 어쩔 수 없는 조치라고 말하려는 것이고 1948년을 8월 15일 건국절로 바꿔 친일파들이 근대화의 주역이었다고 말하려는 것”이라며 “이 시대에 이걸 막아내지 못하면 우리 후대들이 뭐라고 하겠는가”라고 말했다. 

이날 ‘역사 교육 국정화 반대’ 피켓을 들고 1인시위를 벌인 김건군(15·을지중3)은 “피켓은 부모님과 함께 만들었고 집회도 부모님과 같이 왔다”며 “객관적인 역사가 있을까 라는 의문이 들었고 제가 역사를 배울 때는 그럴 수 없다고 했다. 국정 교과서가 되면 어느 한 입장에서만 배우게 되는 게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역사학자 이이화 선생이 17일 서울 세종로공원에서 열린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 범국민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강윤중 기자


■청소년들도 거리로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초·중·고등학생들도 ‘그릇된 역사 교과서를 거부할 권리’를 외치며 거리로 나왔다. 17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안국동 사거리에서 국정교과서반대청소년행동(청소년행동)이 주관한 ‘국정 교과서 반대 청소년 거리행동’에 60여명의 초·중·고등학생들이 참석했다. 학생들은 자못 숙연한 모습으로 양손에는 하얀 면장갑을 낀 교복 차림에 손에는 영정사진처럼 꾸민 피켓을 하나씩 들었다. 피켓에는 ‘청소년은 국정 교과서로 배우는 것을 거부합니다’ ‘우리에게 왜곡된 역사가 담긴 국정교과서를 강요하지 마세요’ 등의 문구가 적혔다. 

이날 사회를 맡은 최서현 학생은 “우리는 친일, 독재 미화 교과서 배울 수 없다”며 “역사교육이 죽었다는 취지로 검은 넥타이를 매고, 이 자리에 (국정 교과서에 반대하기 위해) 나왔다”고 말했다.

서울 화곡고 2학년 오병주군(17)은 자유발언에서 “어른들은 공부나 하지 왜 데모를 하냐고들 하시지만 저희가 바로 이순간 하고 있는 활동조차 공부에 관련된 것”이라며 “민주화 운동도 학생들이 먼저 시작했다. 이번에도 우리가 먼저 나설 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 국제고 3학년 이은영군(18)은 “올바름과 그름은 대통령 한명이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청소년들이 참정권에도 제한을 받고 있지만 국정화에 관련해서만큼은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 청소년들이다. 그런만큼 우리 스스로 국정화 반대 목소리를 낼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국정 교과서 반대 청소년 행동 소속 학생들이 17일 서울 인사동에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를 외치며 행진하고 있다. 강윤중 기자
경기 통진고 3학년 신다희양(18)은 “(국정화 찬성하는 이들은) 다양한 교과서로 배우면 수능에서 오류가 생길 수 있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왜 지금까지 검정교과서 체제 하에선 오류가 나오지 않았는지 의문”이라며 “설사 오류가 나왔다 해도 그건 시험출제 상의 오류이지 그렇다고 교과서를 바꾸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모인 학생들은 이날 오후 3시쯤 “역사 교육이 죽었다”는 메시지를 담은 묵념 퍼포먼스를 진행한 후 피켓을 들고 인사동 거리를 지나 정부종합청사까지 행진했다. 청소년모임은 거리행동을 지속해가는 동시에 오는 11월 1일 학생의 날을 맞아 국정 교과서에 반대하는 대규모 청소년 행동을 계획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소년모임이 현재 온·오프라인으로 수합 중인 한국사 국정교과서 반대 청소년 선언에는 10월 16일 밤 12시 기준 950명이 서명에 동참했다. 

■대학가 국정 교과서 반대 목소리 확산

대학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 목소리도 거세다. 연세대학교 학생들은 17일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연세인 결의대회’를 열었다. 

16일 전국 24개 사범대 학생회와 전국교육대 학생회, 전국교육대학생연합, 서울대 사회대, 연세대 사회과학대, 고려대 정경대의 국정 교과서 반대 기자회견, 시국선언에 이은 움직임이다. 대학 교정에도 국정화에 반대하는 대자보가 계속 나붙고 있다.

17일 연세대 학생들이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 백철 기자
이날 연세대 학생 30여명은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학관 앞에서 “국정 체제 폐지 위해 학생이여 함께하자”는 구호를 외쳤다. 신학과 2학년 전윤씨는 “역사를 누구의 권한으로 하나의 관점으로 통일하려 하나”며 “그들이 내세우는 통합의 원리는 역사를 이념논쟁으로 비화시키고 기득권을 위해 사실과 상식을 왜곡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화학과 황성주씨는 “학생들을 자신들이 올바르다고 생각하는 교육관을 주입하려는 방식을 어떻게 옳다고 하겠느냐”며 “그런 발상 자체에 분노를 느꼈다. 그들이 말하는 ‘올바른’은 학생들을 위한 게 아니라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올바른’이라고 말했다.

"304명, 구할 수 있었다" 사고 당일 타임라인 보니… 세월호 국민참여 특위 첫 토론회... "특조위 모니터링 필요"

2014년 4월 16일. 참사는 벌어졌다. 304명의 생명이 싸늘하게 식었다. 남은 건 그날에 대한 기록들 뿐. 조각조각 흩어진 증거들은 일제히 하나의 결론을 가리킨다. "구할 수 있었다"고.

4.16 연대 부설 세월호참사 진상규명 국민참여 특별위원회는 15일 서울 중구 명동 카톨릭회관에서 열린 토론회 '구할 수 있었다'에서 참사 당시 상황을 분 단위로 쪼갠 시간표를 공개했다. 참사 전날인 2014년 4월 15일 밤부터 사고 당일인 16일 오전 10시 21분까지로, 시간 별로 배 안쪽 상황, 바깥 상황, 교신 녹취 기록, 피해자 휴대전화 기록 등이 세세하게 담겨있다. (☞바로 가기 : 4.16연대)

국민참여 특별위원으로서 이번 타임라인 제작을 맡은 박영대 서울대 세월호 연구팀장은 '구조 방기의 재구성' 발제를 통해 당시 구조 주체였던 해경, 해군 등이 무엇을 했고 무엇을 하지 않았는지를 조목조목 짚었다.

▲세월호 참사 타임라인. ⓒ4.16연대

퇴선 명령만 있었다면... 

가장 간단한 방법이었다. 선원들이 퇴선 명령만 내렸다면, 구조가 가능한 상황이었다. 파도도 높지 않았고, 세월호 탄 사람 전원을 수용할 수 있는 유조선 둘라에이스호가 주변에 있었다.

그러나 세월호 선원들은 '가만히 있으라' 했다. 선원들은 9시 4분 경 진도연안 VTS와의 교신에서 "움직일 수 없다"고 했다. 

"좌우로 한발자국도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여서 벽을 잡고 겨우 버티고 있는 상태"

움직일 수 없다는 말은 이후로도 계속됐다. 그러나 당시 영상 기록을 보면, △9시 5분 경 기관장이 조타실에서 3층으로 이동하고, △6분경에는 기관실 선원들이 지하 기관실에서 3층으로, △10분경에는 1등 항해사가 침실로 이동했다. 심지어 △9시 44분경 123정에서 세월호로 올라탄 경사가 3층에서 5층으로, 선미 쪽에서 선수 쪽으로 이동했다. 불과 2분 만에 이뤄진 일이었다. 

선원들은 교신에서 구명조끼를 착용하라는 방송조차 할 수 없다고 한다. 박 위원은 "10시까지 나온 '가만히 있으라'는 방송은 무엇이냐"며 "완전한 거짓말"이라고 비판했다. 

둘라에이스호 선장은 당시 승객들이 바다에 뛰어들기만 하면 구할 수 있었다고 증언한다. 당시 둘라에이스호 측은 세월호 주변에 대기 중임을 진도 VTS에 전했고, 진도 VTS 역시 세월호 주변에 둘라에이스호가 접근 중이라고 하지만, 세월호 선원들은 "해경이 오는 데 얼마나 걸리느냐"고만 거듭 되묻는다. 급기야 둘라에이스호가 교신을 통해 세월호에 "서둘러 탈출시키십시오. 빨리"라고 하지만 세월호에서는 여전히 탈출 방송이 나오지 않았다.

▲해경은 세월호에 승선했지만 구조한 것은 선원들과 몇몇 승객에 불과했다. ⓒ박영대 4.16연대 부설 세월호참사 진상규명 국민참여 특별위원회 위원

현장 구조세력, '구경' 아닌 구조를 했더라면... 

"이건 구조를 하러 간 것이 아니라 거의 취재를 하러 가거나 구경을 하러 간 정도로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광주소방안전본부 소방행정과 소속 감찰조정관 황모 교수의 검찰 진술이다. 당시 현장에 출동한 세력은 해경 123정과 헬기 511기, 512기, 513기 등 세 대 모두 구조를 방기하고 있었다는 얘기다.

511 헬기는 도착 시점 목포상황실을 통해 승객 대부분이 배 안에 있음을 확인했다. 그럼에도 선내에 진입해 퇴선을 유도하지 않고 밖에 나온 승객만 구했다. 도착 45분간 구조한 인원은 12명에 그친다. 세 대의 헬기가 구조 인원을 합쳐도 35명에 불과하다. 항공 구조사들 역시 거짓 증언한다.

"만약 선내에 다수 승객이 있다는 것을 알았더라면 분명히 어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선내 진입을 시도하려고 했을 것입니다." 

해경 123정이 사고 현장에 도착한 것은 9시 35분경이었다. 현장에 도착해서 약 40분 동안 모든 선원을 태우는 사이, 승객을 구한 건 물에 빠져 있는 승객 한 명과 3층 갑판과 창문 안쪽에 있던 일부 몇 명에 불과했다. 해경 경장 한 명이 조타실로 올라갔지만 퇴선 방송은 하지 않았다. 조타실에 잡을 게 없어서 이동이 어려웠다고 했지만, 조타실에는 벽에 긴 손잡이가 달려 있었다. 어김없이 거짓말이었다.

123정은 10시 17분경 멀어졌다. 해경이 떠나간 이때, 어선들은 적극적으로 구조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중앙구조본부에서 구조 지침이 내려온 건 17일 0시였다. 당시 구조본부장을 맡은 김석균 전 해양경찰청장은 16일 12시 30분 목포해경 소속 경비함 3009함에 올랐으면서도, 12시간 가까이 지나서야 처음으로 구조 관련 지시를 내린 셈이었다. 

박 위원은 "김석균은 세월호 내 구조대를 투입시켜 생존자를 확인하라는 지시를 하지 않았다"며 "해경이 이날 한 일은 망치로 세월호를 두드려 보는 것 뿐이었다"고 비판했다.

ⓒ4.16연대 부설 세월호참사 진상규명 국민참여 특별위원회


"특조위 조사 활동 감시 필요" 

이날 토론회에 참가한 한 대학생은 "구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구조하지 못했다는 걸 타임라인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하니 무척 놀랍다"고 말했다. 

박 위원은 "이런 토론회를 통해 시민들과 호흡하면서 이런 연구 결과물을 토론회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시민들에게 보다 더 관심 갖고 행동하는 데 도움 줄 수 있을 것 같다"며 "혹시 타임라인에 빠진 의혹들이 있다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제시해달라"고 했다. 

장훈 416 가족협의회 진상규명분과장은 세월호 희생자 가족에 대한 관심을 요청하는 한편, 세월호 특조위에 대한 견제와 감시를 당부했다. 장 분과장은 "특조위가 진상 규명을 위해 조사 활동을 이제 막 시작한 만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특조위가 무디다고 안 믿지 말고, 기대해봐야 한다"고 했다.

독재.후진국에서 ‘국정교과서’를 사용하는 이유 독재, 군사정권을 찬양했던 국정교과서 연구진, 다시 국정교과서 책임자로

‘국정교과서’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한국 교총이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과정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10월 11일 한국 교원총연합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역사학(歷史學)’적 관점이 아닌 ‘역사교육(歷史敎育)’적 관점에서, 미래 세대와 현세대의 올바른 역사관 함양과 역사교과서 내용 정립(定立)을 위하여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과정 필요하다’고 공식 견해를 밝혔습니다.
교총은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 과정에서 이념적으로 편협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교총이 전개하겠다는 '대한민국 역사 바로 알기 및 바로 세우기 전(全)국민운동’은 집필진에게 객관적으로 역사를 집필할 수 있기보다는 무언의 압력이 될 가능성도 큽니다.

국정교과서를 놓고 벌이는 대립과 갈등, 과연 누구의 말이 맞는지 다른 나라와 우리나라의 사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세계 각국의 다양한 교과서 발행제도’
한국 교총이 국정교과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국정교과서를 채택하지 않고 있습니다. 우선 다른 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교과서의 발행 유형을 살펴보겠습니다.
교과서 발행은 ‘국정제’, ‘검정제’, ‘인정제’등으로 방식이 채택됩니다. ‘국정제’(Government-issued Textbook System)는 국가나 지방 정부가 직접 교과서를 제작,발행하여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사용하는 제도로 지금 논란이 되고 있는 ‘국정교과서’를 의미합니다.1

‘검정제’(Textbook Authorization System)는 민간이 교과서를 제작하여 국가나 기관에 심사받는 제도로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는 교과서를 ‘검정도서’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인정제’(Textbook Adoption System)는 민간이 제작, 발행한 교과서를 국가나 지자체에서 인정한 후 목록을 만들어 학교에서 선택하도록 하는 제도로 해외에서는 인정도서가 많이 사용됩니다. 한국에서도 인정도서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자료와 의견을 통해 창의성을 키우는 방안 때문입니다.
‘자유발행제’는 정부가 일반 출판물처럼 교과서 제작 및 채택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 제도입니다. 국정, 검정, 인정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교육 담당 부서는 목록만 작성해 학교에 배포하고 학교가 자율적으로 교과서를 채택하는 방식입니다.

‘북한, 필리핀 등 독재, 후진 국가에서 국정교과서 사용’
세계 대부분 나라는 국정교과서를 채택하지 않고 검정이나 인정, 자유발행제 등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교과서의 선택 또한 교원 단체 등이 검증한 목록을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선택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영국, 스웨덴, 덴마크, 네덜란드,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은 ‘자유발행제’를 선택하고 있으며, 미국, 프랑스, 호주, 벨기에, 이탈리아, 캐나다 등은 ‘인정제’를 독일,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이스라엘 등은 검정제를 적용하고 있습니다.2

‘국정제’를 사용하는 나라는 ‘북한’, ‘필리핀’, ‘핀라드’ 등 소수 나라에 불과합니다. 국정교과서를 채택하는 나라도 초등학교는 국정제, 중학교는 자유발행제식으로 다른 제도를 적용하거나, 한 학교에서 과목별로 두 가지 이상의 제도를 적용하기도 했습니다.
2002년 발표된 ‘교과용도서 검정업무개선방안연구’ 논문은 국정제가 많은 지역은 아시아 지역으로 조사대상 19개국 중 26%인 5개국이며, 이런 현상은 정부가 교과서를 규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논문에서는 자유발행제 국가의 숫자도 상당하며, 자유발행제 국가는 ‘자유민주국가로서 소득이 높은 나라에 속한다’고 분석했습니다.
결국, 세계 다른 나라는 검정제, 인정제를 넘어 자유발행제로 가고 있지만, 한국만 오히려 ‘국정교과서’로 퇴보하고 있는 셈입니다.

‘정권에 따라 바뀌는 국정교과서의 집필 내용’
선진국의 교과서가 자유발행제로 바뀌는 이유는 교과서마다 집필자의 역사인식이나 역사관이 강하게 반영되기 때문에 교과서마다 상당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입니다. 교과서마다 구체적인 내용의 구성이나 전달 방식이 다를 경우 오히려 다양한 교과서를 접하는 편이 역사를 이해하기 빠를 수도 있습니다.
1979년 박정희 정권이 펴낸 국정교과서를 보면 5.16을 혁명이라 말하며 ‘박정희 장군을 중심으로 한 군인들은 나라와 민족을 혼란과 위기에서 구하기 위하여 혁명을 일으켰다’고 서술했습니다. 1982년 전두환 정권에서 발행된 국정교과서에는 ‘박정희 장군’이라는 말이 빠지고 ‘박정희 등 군인들이 사태의 심각성에 비추어’라고 바뀌었습니다.
현재 교과서를 보면 ‘5.16’을 ‘군사 정변’으로 지칭하며 ‘박정희를 중심으로 한 일부 군인들이 군사 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함으로 (장면 내각이) 집권 9개월 만에 무너지고 말았다’고 서술됐습니다.
하나의 사건이지만 역사 교과서가 바뀌는 이유는 국정교과서라는 이름으로 정권들이 역사를 자기들 편에서 서술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다른 국가에서는 획일적인 역사 인식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다양한 ‘자유발행제’ 등을 선택하고 있는 것입니다.

‘독재, 군사정권을 찬양했던 국정교과서 연구진, 다시 국정교과서 책임자로’
국정교과서를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박근혜 대통령이 아버지를 박정희를 찬양하기 위한 수단으로 역사 교과서를 왜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982년 전두환 정권에서 발행된 국정교과서에는 제5공화국을 ‘정의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모든 비능률, 모순, 비리를 척결하며 국민의 진정한 행복을 위해 민주 복지 국가 건설을 지향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의 장래는 밝게 빛날 것이다’라며 낯뜨거운 찬양을 늘어놓았습니다.
당시 이 교과서의 연구진에는 김정배 고려대학교 교수가 있었습니다.3 김정배 교수는 2015년 3월 국사편찬위원장으로 임명됐고, ‘역사교과서의 국정화와 검정제를 종합 검토하겠다’고 했습니다. 국정교과서를 집필하는 총 책임자가 이미 독재, 군사정권을 찬양했던 연구진이었다는 사실은 국정교과서를 반대하는 국민의 우려가 현실로 드러나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김재춘 차관은 2009년 작성한 ‘교과서 검청체제 개선 방안 연구’ 논문을 보면 ‘일반적으로 국가가 개발하는 국정교과서보다 민간인이 개발하는 검.인정 교과서가 교과서 개발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더 많이 지닐 것으로 간주됨,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국정교과서는 독재 국가나 후진국에서만 주로 사용되는 제도인 데 반하여, 검, 인정 교과서는 이른바 선진국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제도’라고 밝혔습니다.4
대한민국의 교과서가 ‘국,검정 위주의 정책에서 검정이나 인정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주장은 세계 여러 나라의 교과서 발행제도에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유독 대한민국만 국정교과서로 돌아가는 모습은 우리 아이들에게 부모들이 받았던 획일적인 역사교육을 다시 받게 하겠다는 독재, 후진 국가로의 복귀를 의미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단임제 대통령으로 역사 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고집한다면 결국 정권이 바뀐 뒤에 그에 따른 책임과 비판을 면치 못할 것이며, 역사의 심판 또한 받게 될 것입니다.

1. 역사교과서 발행제도 및 외국사례, 국회입법조사처가 정진후 의원에서 보낸 자료
2. 교과용도서 검정업무개선방안연구. 함수곤 (한국교원대학교) 외, 2002년 12월
3. ‘국정’ 총책 국편위원장, 5공 교과서 제작. 교육희망, 윤근혁 기자
4. ‘교과서 검정체제 개선 방안 연구’ 김재춘 2009년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13&table=impeter&uid=918 






도종환이 교과서 꺼내들자 당황한 황교안, “현행 교과서가 아니라…” 사실상 ‘6.25 남북 공동책임’· ‘주체사상’ 기술 없다고 시인한 꼴

국회 대정부질의, 역사교과서 국정화로 연일 난타전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 교육ㆍ사회ㆍ문화분야 대정부질의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우원식 의원이 황교안 국무총리를 상대로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관련해 질의하고 있다.ⓒ정의철 기자
현행 역사교과서가 6.25 전쟁을 '남북 모두의 책임으로 기술하고 있다'고 한 황교안 국무총리가 16일 직접 교과서를 꺼내든 도종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의 질문에 다소 '당황'하는 모습을 보였다. 야당 의원들의 질문 때마다 미동없이 즉각 반박하던 황 총리는 가지고 있는 문서만 살펴보며 답변에 뜸을 들이기도 했다.
이날 오후 진행된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도 의원은 "(정부여당이 6.25는 남북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고 기술했다는)'미래엔' 교과서에는 북한 전투명령에 대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어떤 보병과 전차부대가 어디로 이동했고 적은 어디에서 기다리고 있다는 등이 서술돼 있다"며 "대체 어디에 남북 모두의 책임이라는 것이냐"고 물었다.
지난 13일 대정부질문에서 현행 교과서에 대해 "북한에서 주장하고 있는 주체사상을 무비판적으로 게재하고 있고, 6.25 전쟁 발발에 대해서도 남한에게 책임이 있는 것으로 서술돼 있다"고 한 황 총리 발언을 문제삼은 것이다.
도 의원은 '리베르스쿨', '지학사', '천재교육' 등 6.25 전쟁에 대해 기술한 현행 역사교과서를 모두 꺼내들면서 "모두 '북이 전면 남침해왔다'고 기술돼있다. 그런 교과서는 없다", "직접 교과서를 봤느냐"고 따지자 "재작년부터 봤다"면서도 곧바로 답하지 못하고 가지고 있는 문서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현재 쓰고 있는 교과서'라는 말에 황 총리는 "그 부분은 교육부로부터 수정지시를 받고 교과서가 바뀐 것"이라며 "고등학교 1,2학년들은 바뀐 교과서를 쓰지만 3학년들은 전의 교과서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사실상 현행 역사교과서에는 '남북 공동 책임'이라는 기술이 없다고 시인한 셈이다.
곧바로 도 의원은 "총리는 (역사를) 몇 학년이 배우는 지 모르나. 고1, 2학년만 배운다"며 "옛날 교과서 이야기 하지 말라"고 쏘아붙였다.
이에 황 총리는 "현재 고3 학생은 여전히 문제의 교과서로 공부를 하고 있고, 현재 교과서는 교육부가 수정명령을 내렸는데 저자들이 승복하지 않고 있고, 출판사로서는 책을 팔아야 하니 수정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즉, 정부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정당한 수정명령을 내려도 일부 집필진이 이를 거부해 사회적 혼란만 부추긴다는 주장이다.
이 밖에도 도 의원은 '주체사상을 무비판적으로 게재하고 있다'는 황 총리의 발언을 문제 삼으며 조목조목 현재 학교에서 쓰이고 있는 교과서를 꺼내들어 반박했다.
그는 "'주체사상은 김일성주의로 천명돼 반대파 숙청의 구실' 등으로 적혀있는 현행 교과서들이 왜 무비판적이냐"고 따져묻자, 황 총리는 "직원이 확인한 자료"라면서 "수정 전에 그런 말이 있었고, 수정 후에도 과거 본문(주체사상 내용)이 그대로 있고 밑에 주석을 달아 내용을 더했다"고 해명했다.
또 '국정교과서의 저작권이 누구에게 있느냐'는 질문에 황 총리는 "집필진에 있다"고 잘못 답하기도 했다. 국정교과서의 저작권은 교육부가 갖고 있다. '국가에게 저작권이 있다'는 도 의원의 질타엔 "국가가 어떻게 (교과서를)쓰겠느냐"고 되레 목소리를 높였다. '국정교과서는 국가가 갖고 있고 내용을 얼마든지 바꿀 권한이 있다'고 강조하자, 황 총리는 "집필진이 균형감을 갖고 역사교과서를 쓰라는 게 정부의 방침"이라고 잘라 말했다.
"국정교과서는 국가권력이 저작권을 갖고 있어 마음대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걱정하는 것"이라며 친일·독재교과서일 경우 '온 몸으로 저항해서 막겠다'고 한 자신의 발언을 지킬 수 있겠느냐는 도 의원의 추궁에 황 총리는 "지금이 어떤 시대인데 독재라던지 식민사관 같은 역사가 어떻게 합리화되겠느냐"고 반박했다.
한편, 도종환 의원 질문 도중 사회를 보던 정갑윤 국회부의장의 '편파 진행'도 도마 위에 올랐다. 정 부의장은 "흥분하지 말고 차근차근 질문하고, 총리에게 답변시간을 주시라. 답변이 필요없으면 넘어가라"고 말했다. 도 의원이 황 총리의 답변 문제점을 곧바로 반박하면서 발언이 이어지지 않자 이를 문제 삼은 것이다.
새정치연합 의원들은 정 부의장을 향해 "편파적으로 사회를 보지 말라", "공정하게 사회를 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종걸 원내대표도 자리에서 일어나 정 부의장을 향해 '(사회 진행이) 잘못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18대 대선 ‘개표부정’의 진실, 공문서 오류의 책임은 선관위 해결책은 선거무효소송(2013수18) 속행 ‘개표부정’의 진위가림


18대 대선 ‘개표부정’의 진실, 공문서 오류의 책임은 선관위
해결책은 선거무효소송(2013수18) 속행 ‘개표부정’의 진위가림
 
강동진 기자 
  
[플러스코리아타임즈=강동진 기자] 이 글은 선관위 정보공개자료를 바탕으로 ‘18대 대선 개표부정을 고발한다’라는 책을 쓴 정병진목사(여수 솔샘교회) 글이다. 글 전문을 게재한다. 

지난 13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강동원 의원이 대선 개표부정 의혹을 제기하자 “터무니없는 허위사실”이나 유포했다는 듯 청와대와 여당의 공세가 연일 소란스럽습니다. 차분히 사실 관계를 검증하여 ‘허위사실’ 여부를 가리는 일이 우선돼야함에도 정치권과 언론에서 그런 노력은 찾아보기 힘들어 안타깝습니다. 마침 중앙선관위가 “어떠한 선거 부정도 있을 수 없다”며 해명자료를 내놓았기에 몇 가지 지적하고자 합니다.  

강동원 의원은 개표상황표나 투표록 같은 선관위의 대선 개표 자료를 기초로 각 선거자료의 시각 문제를 중심으로 개표부정 의혹을 제기하였습니다. 그가 제시한 개표부정의 주요 유형은 투표 중인 시간에 개표가 완료된 사례, 투표함이 투표소에 있는 상태 혹은 투표함 이송 중에 개표가 진행 중으로 나타난 사례, 개표 완료 전에 방송에 결과가 나간 사례 등입니다. 

이에 대해 선관위는 투표지분류기(전자개표기) 제어용 PC의 시간을 현재시간으로 맞춰 놓지 않아 개표상황표의 시각에 일부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설명합니다. 

이런 시각 오류는 "최종 개표결과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고도 덧붙였습니다. 

개표결과를 공표한 시각과 그 개표결과를 언론사에 제공한 시각의 차이에 대한 강의원의 지적도 ‘사실과 다르다’고 합니다.  

지역선관위가 중앙선관위에 개표결과를 보고하면 그 내용이 실시간으로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와 방송사에 제공되었다고 해명하였습니다. 전국 개표소에 6만 여 명의 개표사무원과 4500여 명의 참관인들이 개표 전 과정을 감시하였으나 이의제기는 한 건도 없었다며 개표부정 의혹을 일축합니다.  

▲    부정선거로 국회 질의하는 강동원의원   © 강동진 기자

▲ 강동원의원 국회질의자료     ©강동진 기자

▲ 강동원의원 국회질의자료     ©강동진 기자

하지만 중앙선관위의 해명에는 다음의 문제점이 있습니다.

첫째, 선관위 해명대로 제어용 PC의 시간을 제대로 맞춰놓지 않아 개표상황표의 분류기 개시 및 종료 시간에 오류가 발생했다면 그 모든 책임은 고스란히 선관위에 있습니다. 개표상황표는 개표 결과를 확정짓는 개표의 핵심 공문서 중 하나입니다.  
(풀이 : 결정서 법원 '결정'의 효력이 있음 

그 문서의 시간에 수많은 오류가 발생하였음에도 개표사무원들과 선관위 위원들, 선관위 위원장까지 누구 하나 발견 못하였다면 그들의 개표 업무에 중대한 하자가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선관위는 개표관리를 제대로 못해 정확하지 않은 공문서를 만든 책임을 통감하며 대국민 사과부터 해야 마땅합니다. 

그럼에도 지금껏 이런 사항에 대해 누구하나 책임지는 사람도 없고 선관위의 관련 직원 가운데 징계를 받은 사례도 전혀 없는 상황입니다.  

둘째, 선관위는 제어용 PC 시간 설정 문제로 개표상황표의 시간에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주장하지만 그것을 입증할만한 객관적 자료는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풀이 : 이 자체가 직무상 해태, 직무유기로서 최소한 관계담당자의 처벌, 징계가 있어야 하는 것임.)   

가령 투표함이 이송 중인 시간에 개표가 진행된 것처럼 개표상황표에 기재돼 있는 경우, 그 시각에 실제 개표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개표장 촬영 영상이나 관련 증거 자료를 내놓아야할 것입니다.  

대선 개표 당시 전국의 지역선관위는 개표의 전 과정을 촬영하였습니다. 하지만 그 영상을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에 따라 보존하지 않고 무슨 이유에서인지 대부분 임의로 폐기하였습니다.  

(풀이 : 공직선거법 제186조 위반의 선거무효사유에 해당함)  

때문에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 자료를 내놓지 못하고 막연한 추정에 불과한 군색한 해명을 내놓고 있습니다.  

셋째, 개표상황표의 시각 오류가 최종 개표결과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선관위 주장은 거짓입니다. 

(풀이 : 개표시각의 오류라는 자체가 공문서이며 결정서로서 무효에 해당하는 것으로 헌법 제114조, 선관위법 제1조, 제3조 및 공직선거법 제1조 등등 법률 위반한 행위로서 선거결과에 절대적 영향을 미침 ) 

가령 투표지분류기의 종료시각보다 위원장의 공표시각이 앞선 경우, 투표지분류기로 분류하기 전에 개표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풀이 : 사실이라면 조작결과로서 해석할 수 밖에 없는 것임, 즉 부정선거라고 해석하는 것임.)

개표는 “개함→투표지분류기 분류→심사집계부 확인 ․ 심사→위원 검열→위원장 공표→보고” 순으로 진행합니다. 그런데 투표지분류기의 분류 전에 개표 결과가 나왔으면 개표의 대부분 절차를 생략한 거나 다름없으므로 그 개표 결과는 무효가 되어야 합니다. 

개표가 정상적인 적접 절차에 따라 진행되어야 그 결과를 신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풀이 : 대법원 판례, 헌소 심결례에 의거 부적법 절차에 의한 개표사무는 선거무효에 해당함

따라서 개표상황표의 시각 오류가 최종 개표결과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은 개표의 기본조차 무시하는 잘못된 해명입니다.  

(풀이 : 자의적 억지 거짓주장으로 국민을 기망함, 헌법 제114조에 의거 설립된 헌법기관으로서 기능을 상실하여 존재의미가 없으므로 해체해야함.) 


넷째,  공직선거법에 의하면 후보자별 득표수의 공표 전에 누구든지 이를 보도할 수 없게 돼 있습니다(178조 4항).  (=선거당시에는 공직법은 제178조 제3항). 

한데 지난 대선 개표 당시 그런 일이 무수히 발생하였습니다. 선관위는 “지역 선관위가 보고하지 않은 자료가 방송사에 제공되는 일은 불가능”하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중앙선관위가 공개한 개표상황표와 1분 단위 개표자료를 면밀히 대조한 결과 위원장이 개표 결과를 공표하기 전에 그것이 방송사와 언론사에 제공된 경우가 무려 872건이나 나왔습니다.  

(풀이 : 선관위는 사전 전산조직에 의한 개표사무를 할 수 없음에도 불법으로 전산조직, 전산프로그램, 컴퓨터 제어장치 등을 불법으로 사용함으로써 절차법을 원천적으로 위반하였고,

위 1분단위 개표자료 자체가 공직선거법상 성립할수도 인정될수도 없는 것이며, 이러한 전혀 불필요한 자료가 바로 사전 부정선거를 위한 속임수인 것이며, 결국  위 개표결과자료  872건의 사전 제공분이  개표조작의 부정선거의 증거로서 충분히 인정되는 것임.)
선관위는 그 같은 일이 불가능하다고만 강변할게 아니라 위원장이 공표도 하기 전 개표 결과가 방송사 및 언론사에 제공된 많은 사례가 어째서 발생하였는지 규명해야할 것입니다. 

가령 SBS의 개표방송의 경우, 최종

개표결과가 5,316표나 중앙선관위 개표 자료와 차이가 납니다. 그럼에도 중앙선관위는 이런 사실을 철저히 조사해 재발방지 대책을 강구하지 않은 채 단순히 방송사의 책임으로만 돌리고 있습니다.  

(풀이 : 그 책임이 방송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중앙선관위원장, 상임위원 및 위원, 그리고 사무총장 관계책임자에게 그 개표절차의 한 과정으로서 구체적이 오류발생원인을 규명하는 한편 그 책임이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며, 이들은 선거관리의 위법과 부실을 단순한 착오 혹은 실수로 넘기고 있으나, 그 실수 자체가 처벌대상인 것임.  

또 선관위 자체에 정화나 감찰능력이 없는 것으로 검찰이 수사하고, 즉각 부정선거범으로 구속 수사하여야 하는 것임.   

허나 이점 또한 검사가 바로 대통령에 맹종하는 중립성을 상실한 부하로서  부정선거를 은폐하는 범죄세력으로 이미 드러났으므로 기대할 수 없는 것임 )
다섯째, 대선 개표 때 6만 4천 500여 명의 개표사무원과 참관인이 개표 전 과정을 감시하였으나 이의제기는 한 건도 없었다는 선관위의 주장도 온당하지 않습니다. 전국의 대부분 선관위는 개표 참관인들에게 개표의 기본 자료인 ‘개표관리매뉴얼’조차 배부하지 않은 채 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참관인 교육도 극히 형식적으로 이루어졌을 뿐입니다. 개표에 투입된 개표사무원 중 일반 시민이 심사집계부 단계의 개표사무원을 맡은 경우도 없었습니다. 일반인 개표사무원은 투표지를 가지런히 정리하는 개함부에 배치돼 작업하였습니다. 투표지 유, 무효를 가리는 본격적인 개표업무인 심사집계부에는 선관위 직원이나 공무원 중 개표 업무를 오랫동안 맡은 사람들이 주로 배치되었습니다.  

이런 상태에서 참관인이 개표의 문제점을 발견해 이의제기 하기란 사실상 거의 불가능한 현실입니다. 그럼에도 참관인의 이의제기가 ‘전혀 없었다’는 선관위의 주장은 거짓입니다. 

(풀이 : 중앙선관위는 당초 절대 사용불가한 전산조직, 즉  전자개표기, 보고용pc, 전산망서버, 언론사에의 접속 전산전송 등 이 모두가 공직선거법 부칙 제5조 제2항, 공직선거법 제278조 제3항, 제4항, 제6항에 의한 공직선거관리규칙을 제정하고 그에 따라 전혀 불공정한 부정선거가 발생할 여지가 100%로 없을 시 사용가능한 것임.  

그러나 중앙선거위는 공직선거법 제 1994.3.16. 제정 20년이 경과한 지금까지 공직선거관리규칙을 마련조차 하지 않고 불법으로 전자개표기 등 전산조직을 개표사무에 시용하는 불법으로 부정선거를 자행한 것임.) 

일부 지역 참관인들의 이의제기는 분명 있었고 그것은 선관위가 공개한 개표영상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풀이 : 보다 정확한 것은 개표사무원이나 개표참관인이 전자개표기를 구동하여 1분당 300매~ 400매를 개표하는 처리속도에서 육안 검표를 하는 것 자체가 원천적으로 전혀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이의제기가 사실상 나올 수가 없는 것입니다.  

중앙선관위는 보조장치로 사용한다고 하나 전혀 보조장치가 아니었고,  전자개표기를 주 개표수단으로 불법 사용하였으며, 국민을 기망하였던 것임.) 

여섯째 선관위는 국민의 개표부정 의혹을 불식시키기 위해 여야가 합의하면 얼마든지 재검표할 용의가 있다고 말합니다.  

(풀이 : 이미 제18대 선거무효소송인단은 2013.1.4. 선거무효 소장을 제출하는  같은 날 수개표(투표지 검증)신청을 하였던 것이나, 대법원 재판부가 불법으로 기각하여 준재심신청 중에  있음을 밝힙니다.  

더욱 문제가 있는 것은 투표한 투표용지에 일련번호가 누락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투표함에 보관 중인 투표용지= 투표지가 선거인이 기표한 것인지, 조작된 것인지 구분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 점은 공직선거법 제150조 제10항 투표용지에는 일련번호를 인쇄하여야 한다는 의무 규정을 선관위 스스로 위반하여 고의로 부정선거를 기도했다는 지적을 면할 수 없는 것임. )

그러나 대선이 끝난 지 벌써 3년 가까이 된 상황에서 재검표가 이루어진들 그 결과를 국민이 신뢰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현재 선관위는 대선 투표함을 맡아 관리하는 중입니다. 18대 대선 선거무효소송이 제기돼 있는 상태라 법령상 투표지를 폐기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선관위가 그 투표함을 과연 안전하게 보관하였는지는 누구도 장담하기 힘듭니다. 대선 투표함 보관소에 철통같은 경비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CCTV조차 설치돼 있지 않은 상태라 그렇습니다.  

선관위 직원 중 누군가가 몰래 투표수를 맞춰 놓아도 일반인이 그것을 확인할 방법은 사실상 없습니다. 더욱이 여수선관위의 경우 대선 이후 투표함을 임의로 개함한 사실이 드러나 검찰에 고발된 바도 있습니다. 이처럼 선관위는 대선 투표함을 매우 허술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얼마든지 재검의 용의가 있다”는 선관위의 주장은 각종 개표부정 의혹을 면피하기 위한 발언에 지나지 않습니다.  

{풀이 :  중앙선관위가 재검표할 용의가 있다는 주장은 중앙선관위원장이 나와서 책임있는 답변도 아니고, 일선 관계자를 내세위 주장하는 것으로서 다분히 정치적인 쇼에 불과한 것이며, 가사 여야정당의 합의 운운하지만, 이러한 전제조건은 기망하고 있는 것이며, 재검표 시에는 완전 중립적 지위에 있는 국민기구에서 감시감독 관리하는 상태에서 법원이 아닌 제3의 새로운 기구에서 재검표를 해야 하는 것임.  

왜냐하면, 대법관(중앙선관위원장)과 252개소 법관(시군구선관위원장)이 부정선거한 혐의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부정선거를 자행한 동요, 선배 대법관, 후배법관들(약 270명)의 선거결과에 대해 같은 대법원 대법관들 주도하에 재검표 시 그 결과는 요식행위로서 너무나 뻔한 것이기 때문임.} 
이상으로 강동원 의원이 제기한 대선 개표부정 의혹에 대한 선관위의 해명 내용을 보고 그 문제점을 몇 가지 지적하였습니다. 강 의원이 국회 대정부 질의에서 언급한 개표부정의 사례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합니다. 그 단편적 내용만으로 갑론을박 해봐야 장님 코끼리 만지기 식이고 끝없는 논란만 낳을 것입니다.  

최선의 해결책은 대법원에 이미 제기된 18대 대선 선거무효소송(2013수18)의 재판을 속개하여 ‘개표부정’의 진위를 가리는 일입니다. 


x
현장방송을 하는 일인미디어
(촛불사랑tv) 방송하고 있습니다.

Thursday, October 15, 2015

세계의 미래를 좀먹는 '청년 실업' 세계은행 '청년' 보고서

지난 9일 튀니지의 ‘국민4자대화기구’가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는 영광을 안았다. 4년여 전 ‘재스민 혁명’이라고도 불리는 튀니지 민주화 혁명을 촉발시킨 것은 한 청년 노점상의 분신 자살이었다. 먹고살 길이 막힌 청년층의 분노는 독재권력을 몰아낸 힘이 됐다. 하지만 튀니지는 이슬람국가(IS)에 가담한 외국인 전사가 가장 많은 나라이기도 하다. 혁명은 성공했지만 청년층에게 여전히 일자리는 없고, 좌절한 이들은 극단주의에 눈을 돌린다.
튀니지는 지금 세계가 안고 있는 가장 큰 고민거리를 보여준다. 바로 청년실업이다. 지난 13일 세계은행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침체의 최대 희생자이자 저성장 시대의 가장 큰 불안요인이 될 청년 일자리 문제를 진단한 보고서를 내놨다. 올해 세계의 15~29세 인구는 사상 최다인 18억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저개발국 청년 인구는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하지만 그중 5억~6억2000만명은 일자리가 없거나 임시직 노동자다.
국제노동기구(ILO)도 지난 8일 웹사이트에 ‘2015년 청년 고용 트렌드’라는 보고서를 공개했다. 지난해 15~24세 청년실업자는 7억3300만명으로 세계은행 추산치보다 더 많다. 세계 젊은이 10명 중 4명은 일이 없거나 가난에서 벗어나기 힘든 저임금 노동자다. 세계 전체 실업률은 올해 8%에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데 비해 청년층의 고통은 유독 크다. 세계 실업자의 40%는 24세 이하 젊은이들이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일자리가 있어도 청년노동자의 3분의 1은 하루 2달러가 못 되는 돈으로 살아가야 한다.
소외된 청년들은 변화의 동력이 되기도 하지만 세계를 피폐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극단주의가 기승을 부리고 폭력사태가 늘어나는 곳에는 어김없이 좌절한 청년들이 있다. 민주화 혁명을 퇴색시킨 IS의 인력풀은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청년들이다. 두 곳 모두 청년실업률이 25%가 넘는다. 이주자 살해·공격과 폭동이 수차례 일어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도 청년 4명 중 1명은 일자리가 없다.
반이민 극우파들이 부상하고 있는 유럽도 청년실업률이 높다. 2007년 15.7%였으나 몇년 새 20%를 넘겼다. 경제난을 겪은 그리스는 청년실업률이 50%가 넘고, 좌파들의 저항운동이 일어난 스페인도 50%에 육박한다. 2013년 유럽연합(EU)은 60억유로(약 7조8000억원) 규모의 청년고용기금을 만들었지만 경제침체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청년실업률이 7%로 유럽 최저인 독일이 이주민·난민에게 관대한 데에는 이유가 있는 셈이다.
저소득 국가 젊은이들 중 31%가 전혀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들이어서 전망은 더욱 어둡다. 아지타 아와드 ILO 고용정책국장은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정책과 함께 기술교육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